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이슈ㅣ국제뉴스ㅣ오피니언

“The Name, 미스글로라이즈코리아(MISS GLORIZE KOREA) Cannot Be Used By Others”

Miss Grand Korea & DMZ World Peace Ambassador Contest Organizing Committee, Requesting Disposal of Prohibited Use of Similar Names Against Company P


[NEWS MEDIA]=The request for disposal of prohibited use of the name, Miss Grand Korea, was made against a Company P by Miss Grand Korea Organizing Committee on 19th June 2020.

 

Miss Grand Korea & DMZ World Peace Ambassador Organizing Committee(MGK Org.) claimed that Company P is using the name, Miss Grand Korea, and causes confusion between participants and sponsors even though MGK Org. started using the name, Miss Grand Korea as a brand since 2016.

 

MGK Org. hosts regional and the final pageant annually ever since they selected models through the competition under the name of Miss Grand Korea in 2016. In 2017 and 2018, MGK Org. made a license agreement with Miss Grand International and dispatched the delegate for an international pageant. In 2019, Miss Grand International was held in Venezuela, and by the strong recommendation from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Korea related to the safety issues due to an unstable government and chaos, MGK Org. had to give up dispatching the delegate to Miss Grand International. Since Miss Grand International choose Venezuela as the host country in 2020 again, MGK Org. made the final decision not to continue the license agreement with Miss Gr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ey sent delegates to Miss Global and Global Asian Model instead, including other international pageants.

 

As MGK Org. did not continue holding the license, Company P made a license agreement with Miss Gr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It published its website, Facebook Page, blog, and Instagram using the name, Miss Grand Korea, pretending it inherit the pageant from MGK Org. to promote their contest and recruit participants.

 

One of the board members of MGK Org. emphasized, "Miss Grand Korea is neither subordinate organizations nor subconcept of Miss Grand International. The license of Miss Grand International only allows the license holder to participate in their international pageant and the right to use their logo."

 

He added, "Miss Grand Korea is our unique domestic brand. Since 2016, we selected models through the pageant, and those participants attend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We also hire them as a model to shoot promotional videos such as DMZ Pyoenwhanuri-Gil and other various commercial videos as well as participating in different international pageants that are not related to Miss Grand International. This is the reason why we had to take legal action to request for disposal of prohibited use of our brand name, Miss Grand Korea, against Compmnay P to protect our value."

 

Miss Korea, the most well-known beauty pageant in Korea, is not currently holding Miss World, Miss Universe license. However, they host the pageant annually to continue promoting the brand value successfully. The current license holder of Miss World and Miss Univers is Miss Queen Korea.

 

An official of the Miss Grand Korea Organizing Committee said, "An impure intention to deprive our 4-year pageant history and the brand value was suspected while we postponed Miss Grand Korea 2020 due to the pandemic situation. Company P is recruiting participants and supporters using our photos, videos of the previous pageant, participants, and even the photos of Miss Grand Korea Organizing Committee members without permission on their website, blog, Facebook, and Instagram. I believe paying extra attention is needed to prevent any confusion with our pageant."

 

MGK Org. even filed its own logo and name of the pageant in April and is going to claim legal responsibilities to Company P in the civil action and criminal case along with the request for disposal of prohibited use, business infringement, and copyright infringement. Among the stolen works, the works of a famous overseas photographer and evening gown designer's are included.

 

 

“미스그랜드코리아 대회 명칭 함부로 사용 못 한다”
미스그랜드코리아 조직위원회, P사 등 타 대회 유사명칭 사용금지 가처분신청


미스그랜드코리아(DMZ세계평화홍보대사 선발대회) 조직위원회(원엘투에이치컴퍼니, 글로라이즈)가 19일, P사 등을 상대로 대회 이름인 '미스그랜드코리아' 명칭을 사용하지 말라는 가처분신청을 냈다.

 

미스그랜드코리아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지난 2016년 결성된 이후 미스그랜드코리아 선발 대회를 매년 개최해 오던 중 P사 등이 똑같은 대회 명칭을 써서 참가자와 후원사의 혼동을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조직위는 미스그랜드코리아라는 이름으로 2016년 모델을 선발하고, 이후 매년 지역대회와 본선대회를 개최해 왔다. 2017년과 2018년에는 미스그랜드인터내셔널과(태국이 주최하는 국제 미인대회)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며 세계대회에 한국대표를 참가시켰다. 2019년에는 미스그랜드인터내셔널 세계대회가 베네수엘라에서 개최되면서 외교부의 권고를 받아들여 안전상의 이유로 한국대표를 참가시키지 않았고, 2020년 미스그랜드인터내셔널 세계대회가 또 다시 베네수엘라에서 개최된다고 알려지면서 미스그랜드인터내셔널과 라이선스 계약을 연장하지 않았다. 대신 미스글로벌(Miss Gloval) 세계대회와 글로벌아시안모델대회(Global Asian Model) 등 여러 세계대회에 한국대표를 참가시키고 있다.

 

조직위가 미스그랜드인터내셔널 세계대회 라이선스 계약을 연장하지 않자 P사 등은 미스그랜드인터내셔널과 세계대회 라이선스를 계약한 뒤 미스그랜드코리아 명칭을 사용해 홈페이지와 SNS를 개설, 기존 조직위에게 모든 권리를 양도받은 것처럼 홍보하며 대회 개최를 위해 참가자와 후원사를 모집 중이다.

 

조직위 관계자는 "미스그랜드코리아는 미스그랜드인터내셔널의 하부 대회가 아니다."라며 "미스그랜드인터내셔널 라이선스는 세계대회 출전권과 미스그랜드인터내셔널 로고 사용 권한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또, "미스그랜드코리아는 2016년부터 모델을 선발했고, 다른 여러 세계대회에 한국대표를 참가시키는 것은 물론 참가자들은 DMZ국제다큐영화제 참석, DMZ평화누리길 홍보영상과 관공서 홍보영상 및 각종 CF에 모델로 출연하는 등 미스그랜드인터내셔널과 관계없는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국내 고유 브랜드이다"라며 명칭 사용금지 가처분신청 배경을 설명했다.

 

국내 가장 잘 알려진 미인대회인 미스코리아도 현재 미스월드 및 미스유니버스 세계대회 라이선스가 없지만 매년 대회를 개최하며 브랜드 가치를 이어오고 있다. 현재 미스월드 및 미스유니버스 세계대회 라이선스는 미스퀸코리아가 가지고 있다.

 

조직위 관계자는 "코로나19 여파로 대회를 연기하고, 참가자의 안전을 위해 미스그랜드인터내셔널 라이선스를 연장하지 않은 상황을 틈타 4년 넘게 쌓아 온 대회 이력과 브랜드 가치를 송두리 째 빼앗으려는 불순한 의도가 의심된다."며 "P사 등이 홈페이지, 블로그, SNS 등에 기존 조직위원회 임원 사진과 지난대회 참가자들의 사진, 영상물을 무단으로 사용해 참가자와 후원자를 모집하고 있으니 부디 우리 대회와 혼동이 없기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미스그랜드코리아 조직위원회는 유사명칭 사용금지 가처분신청에 이어 업무방해 및 저작권, 초상권 침해에 관련된 민형사 소송을 진행할 예정이다. 저작물 중에는 해외 유명 사진작가와 드레스 디자이너의 창작물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미스그랜드코리아는 지난 4월 자체 로고와 대회 명칭을 상표출원 까지 해놓은 상태이다.

 



Today

더보기

경제

더보기
강화군, 北 핵 폐수 방류 의혹에 긴급 수질조사 실시
강화군(군수 박용철)은 최근 제기된 북한의 핵 폐수 방류 의혹과 관련해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에 요청해 3일 오전 강화 서쪽 해역에 대한 긴급 수질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수질조사는 북한 황해북도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방사성 폐수가 무단으로 방류돼 강화만으로 흘러들었다는 의혹에 따라 실시됐다. 지난 1일 원자력안전위원회 측정 결과 '정상'이라고 발표했지만, 일부 주민들의 불안감은 여전한 상황이다. 강화군은 의혹이 제기된 만큼 군민 안전을 위해 정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해야 하며, 강화만 수역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에 따라 군은 의혹이 본격적으로 불거진 지난 6월 26일과 30일, 경인북부수협과 긴급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으며 국회와 정부, 인천시에 명확한 사실 확인을 요청했다. 이에 3일 오전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이 긴급 수질조사에 나섰으며, 강화군 행정선을 이용해 삼산면 하리 선착장을 출발해 바닷물 채수 작업을 실시했다. 조사 지점은 ▲주문도 서남방 해역 ▲교동대교 남단 ▲서검도 서쪽 해역이다. 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정기적으로 주문도 서남방 해역에서 수질조사를 해 왔으나, 이번 의혹으로 조사 지점을 강화 서북단 해역까지 확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