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이슈ㅣ국제뉴스ㅣ오피니언

[기고] 고혈압, 당뇨, 허리 아픈 근로자 『근로자건강센터』로 오세요 !!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에서는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의 보건관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전국 42개 지역에 근로자건강센터와 분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50인 미만 소규모사업장은 산업안전보건법상 보건관리자 선임의무가 없어 사업장 보건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근로자 보건관리가 취약한 게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소규모사업장 근로자의 보건관리를 위해 국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전국 주요산업단지에 근로자건강센터와 분소를 운영하고 있다.


근로자건강센터란 직업환경의학전문의(의사), (산업)간호사, 산업위생관리기사, 운동처방사, 심리상담사 등 직업건강전문가들이 상주하여 직업병‧근골격계질환‧기타 업무상질병 등에 대한 건강상담(사후관리지도)과 작업환경관리 지도, 안전보건교육 등을 지원하는 곳을 말한다. 물론 국가예산으로 운영되고 있는 만큼 사업장과 근로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는 모두 무료다. 


우리 지역에도 2016년 11월 15일 양주검준단지에 근로자건강센터를, 2017년도 6월 28일 남양주 진관산업단지에 분소를 각각 개소하여 철원군을 포함한 경기북부지역 8개시 2개군 사업장 및 근로자를 대상으로 전문건강상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직업병 등 근로자 건강상담이 필요한 근로자, 화학물질 취급 등 작업환경(작업관리) 상담이 필요한 근로자, 요통 등 근골격질환예방관리 상담이 필요한 근로자,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가 필요한 근로자, 금연·절주·영양프로그램 등 생활 개선에 관심 있는 근로자 등이 주요 지원대상이며 근로자건강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하면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운영시간은 오전 9시부터 저녁 9시까지이며 주로 근로자건강센터 내방고객을 대상으로 맞춤형 서비스가 지원되나 사업장에 찾아가는 서비스도 병행하고 있다.


안전보건공단 경기북부지사와 경기북부근로자건강센터에서는 2018년도 역점사업으로 업무상질병사망을 예방하기 위해 특수건강진단 실시 결과 요관찰자 및 유소견자가 많은 사업장을 대상으로 건강수준별(요관찰자, 유소견자 등) 건강상담과 분야별 맞춤형 상담을 실시할 예정이다.


본 사업에 관심 있는 사업장과 근로자는 많은 참여 있길 바라며 기타 자세한 사항은 안전보건공단 경기북부지사 직업건강부(담당자 김형곤 과장 031-828-1935)나 경기북부 근로자건강센터(정용휘 팀장 031-858-9031)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Today

더보기

경제

더보기
강화군, 北 핵 폐수 방류 의혹에 긴급 수질조사 실시
강화군(군수 박용철)은 최근 제기된 북한의 핵 폐수 방류 의혹과 관련해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에 요청해 3일 오전 강화 서쪽 해역에 대한 긴급 수질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수질조사는 북한 황해북도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방사성 폐수가 무단으로 방류돼 강화만으로 흘러들었다는 의혹에 따라 실시됐다. 지난 1일 원자력안전위원회 측정 결과 '정상'이라고 발표했지만, 일부 주민들의 불안감은 여전한 상황이다. 강화군은 의혹이 제기된 만큼 군민 안전을 위해 정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해야 하며, 강화만 수역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에 따라 군은 의혹이 본격적으로 불거진 지난 6월 26일과 30일, 경인북부수협과 긴급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으며 국회와 정부, 인천시에 명확한 사실 확인을 요청했다. 이에 3일 오전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이 긴급 수질조사에 나섰으며, 강화군 행정선을 이용해 삼산면 하리 선착장을 출발해 바닷물 채수 작업을 실시했다. 조사 지점은 ▲주문도 서남방 해역 ▲교동대교 남단 ▲서검도 서쪽 해역이다. 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정기적으로 주문도 서남방 해역에서 수질조사를 해 왔으나, 이번 의혹으로 조사 지점을 강화 서북단 해역까지 확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