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이슈ㅣ국제뉴스ㅣ오피니언

디자인 직종, 취업 후 3~5년이 고비




국내 대학의 디자인 관련 학과 졸업자의 취업률은 51.3%이며, 이들이 디자인 분야에서 장기 경력자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취업 후 3~5년이 고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은 통계청의 지역별고용조사와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통계서비스를 활용해 ‘디자인 인력의 고용구조와 인력수급 현황’을 분석했더니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2013년 현재 전문대학 이상의 디자인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은 약 9만7천명이며 졸업자는 2만1천명이며, 졸업자 가운데 취업한 사람은 1만1천명(51.7%)으로 약 절반 정도가 졸업 후 직장을 잡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현재 국내에서 제품, 패션, 실내장식, 시각, 웹 및 멀티미디어 등 디자인 직종에서 일하고 있는 디자인 인력은 총 19만3천여 명이었다.


디자인 분야의 세부 직업별 비중을 보면, 시각 디자이너가 30.5%로 가장 많고, 웹 및 멀티미디어 디자이너(23.7%)와 패션 디자이너(19.1%) 실내장식 디자이너(16.3%)가 뒤를 이었다.


성별 비중에서는 남성이 45.2%, 여성이 54.8%로, 이를 전체 취업자의 성별 비중(남성 57.8%, 여성 42.4%)과 비교하면 다른 직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성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디자인 인력의 평균 연령은 33.9세이며, 전체 취업자 평균연령이 44.7세임을 감안하면 다른 직종에 비해 약 10년 정도가 젊지만, 40세 이상으로 갈수록 그 비중이 급격히 감소한다.


디자인 인력의 종사상 지위를 보면, 상용직 근로자가 65.4%, 임시근로자는 10.9%였으며, 자영업자는 23%로 상용직과 자영업의 비교적 높게 나왔다. 


디자이너의 평균 임금은 월 222만원(전체 취업자는 206만원)이며, 제품디자이너의 임금이 월 283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실내장식 디자이너(251만원) 패션디자이너(223만원) 시각디자이너(207만원) 웹 및 멀티미디어 디자이너(195만원) 등의 순이었다.


디자인 직업에 종사한 총 기간을 보면, 전체 디자인 인력의 22%가 1~3년 미만의 경력이었으며, 10년 ~ 20년 미만의 경력이 21.6%, 5~10년 미만은 20.3%였다.


특히 이들의 경력 기간에서 특이한 점은 3~5년 경력자의 비중이 1~3년 경력자나 5년 이상 경력자이 비해 낮다는 점이다.


3~5년 경력자 비중이 낮은 것은 숙련된 디자이너로 성장하기 위해 자질을 키우고 경험을 쌓을 시기(평균 숙련형성기간 2~4년)에 근로계약기간의 종료 등으로 디자인 직업을 떠나 다른 직업으로 이직을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3~5년 경력자가 중도에 디자인 직종을 포기하지 않고 시장에서 요구하는 능력과 기술을 갖춘 전문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원과 배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권우현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디자인 산업은 자동차, 조선, 가전 등 주력산업이 디자인 수요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어 산업의 전망이 밝으며, 취업유발효과도 커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는 산업”이라며 “그러나 매년 많은 인력이 배출되고 있지만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인력은 부족한 상황이므로, 디자이너의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현장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전문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숙련인력을 양성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News21 조정희 기자



Today

더보기

경제

더보기
인천 서구, 치매안심마을 6개 동으로 확대 운영
인천 서구(구청장 강범석)는 지난 22일, 가정1동을 서구의 여섯 번째 치매안심마을로 지정하고 이를 기념하는 선포식을 열었다. 이와 함께, 주민 대상 홍보부스를 운영해 치매안심마을의 의미와 주요 사업을 안내했다. '치매안심마을'은 지역주민들이 치매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치매예방에서 돌봄까지 함께 참여하는 마을 단위의 치매친화적 환경 조성 시스템이다. 이에, 치매친화적 환경조성을 위해서 2019년 연희동 치매안심마을 지정을 시작으로 오류왕길동, 불로대곡동, 가좌4동, 석남2동으로 점차 확대해 운영해왔으며, 올해 가정1동을 추가로 선정함으로써 총 6곳으로 확대했다. 치매안심마을에서는 주민대표 운영위원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치매예방을 위한 찾아가는 치매조기검진 및 치매예방교실 운영 ▲대상자 맞춤형 사례관리 ▲치매안심가맹점 지정 및 관리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등 다양한 주민 참여형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서구치매안심센터장은 "가정1동의 치매안심마을 지정이 치매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지역 내 이해와 배려 문화가 자리 잡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며 "치매환자와 가족뿐 아니라 지역 주민 모두가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