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15.0℃
  • 구름많음강릉 10.7℃
  • 맑음서울 15.7℃
  • 맑음대전 15.0℃
  • 맑음대구 18.8℃
  • 맑음울산 19.0℃
  • 맑음광주 13.7℃
  • 맑음부산 19.3℃
  • 맑음고창 10.2℃
  • 맑음제주 14.0℃
  • 맑음강화 13.9℃
  • 맑음보은 14.4℃
  • 맑음금산 14.0℃
  • 맑음강진군 ℃
  • 맑음경주시 17.5℃
  • 맑음거제 18.5℃
기상청 제공

정치ㅣ행정

[기고문]좋은 정치를 위한 연료 정치후원금

깨끗한 정치문화 조성을 위해 소액다수에 의한 정치후원금 기부문화가 반드시 자리 잡기를 바래

최근 「부자들은 왜 민주주의를 사랑하는가」라는 책을 읽었다.

이 책에서는 세계 최고의 자본주의 국가인 미국에서 억만장자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하여 어떤 방법으로 정치인을 지원하거나 정치권력을 이용하는지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자동차가 움직이는데 연료가 필요하듯 정치인들이 정치활동을 하려면 많든 적든 필수적으로 자금이 소요된다. 그리고 이러한 정치자금이 어디에서부터 나오느냐는 것은 정치가 추구하는 방향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만일 정치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개인재산으로 충당한다든지 특정인 또는 이익단체 등 소수에 의존하여 조달하는 경우에는 불법적인 정치자금 수수의 유혹에 빠지기 쉽고, 정치자금을 조달해 준 이익단체에 유리한 정책이나 법률만을 추진하는 과오를 범할 우려가 있지만, 소액 다수에 의한 정치후원금을 지원받는다면 이러한 우려에서 벗어나 다수의 국민들을 위한 정치를 펼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끊임없이 되풀이 되는 정쟁들을 보면서 왜 우리가 정치들에게 후원금을 지원해줘야 하느냐고 되물을 수도 있다. 그러나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소설가인 토마스 만(Thomas Mann, 1875 ~ 1955)의 ‘정치를 혐오하는 국민은 혐오스런 정치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말을 떠올리면 우리가 정치혐오가 혐오스러운 정치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어내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정치후원금에는 개인이 후원하고자 하는 정당이나 정치인의 후원회에 직접 기부하는 “후원금”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기부해 법에 정해진 기준에 따라 각 정당에 나누어 지급하게 되는 “기탁금”이 있다.


특히, 기탁금의 경우 정치활동이 금지되는 공무원이나 각급 학교의 교원 등도 기부가 가능하다.


여기에 더해 정치후원금 기부 시 조세특례제한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연말정산에서 10만 원까지 전액 세액공제로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정치후원금을 기탁하면 깨끗한 정치문화를 조성할 뿐만 아니라, 세제혜택까지 주어지니 일석이조가 아닐 수 없다. 아울러, 금전으로 하는 기부가 부담스러운 분들을 위해 잠자고 있는 신용카드 포인트로도 후원할 수 있는 방법도 마련돼 있다.


좋은 연료를 넣으면 자동차의 컨디션이나 대기환경에도 좋겠지만 유사휘발유와 같은 나쁜 연료를 넣는다면 자동차도 금방 고장이 나고 배기가스도 더 많이 내뿜게 될 것이다.


지금 우리 정치에 필요한 것은 소액다수에 의한 정치자금 기부라는 좋은 연료일 것이다. 많은 국민들이 기대하는 올바르고 깨끗한 정치문화 조성을 위해 소액다수에 의한 정치후원금 기부문화가 반드시 자리 잡기를 바래 본다.



Today

더보기

경제

더보기
장애 인식 개선 앞장선 의정부시…시민 참여형 체험행사 성료
의정부시(시장 김동근)는 4월 26일 민락2지구 로데오거리 광장에서 '2025년 장애인 인식 전환 캠페인'을 열고 시민 300여 명과 함께 포용사회를 위한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캠페인은 장애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해소하고, 시민과 함께 차별 없는 사회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 기획했다. 장애인의 삶과 사회참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지역 내 장애인복지기관의 역할을 시민에게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다. 의정부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장애인분과 주최로 열린 행사에는 관내 장애인복지기관 14곳이 참여, ▲장애유형별 퀴즈 ▲점자 체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체험 ▲수어 및 뉴스포츠 체험 ▲타로 상담 등 다양한 체험 부스를 운영하며 시민들과 소통했다. 문화예술 공연으로 시작해 ▲장애 인식 개선을 위한 체험 부스 운영 ▲장애인 인식 전환을 주제로 한 사진 전시 ▲시민 참여형 뉴스포츠 활동으로 구성돼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각 부스는 실제 장애인의 일상과 환경을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돼 참여자들의 높은 호응을 얻었다. 시는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지역사회 전반에 장애 인식 개선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김동근 시장은 "장애